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금리
- javascript
- typescript
- 자바스크립트
- 개발자
- 한국은행
- 경제신문읽기
- 금투세
- 기준금리
- 코드잇 스프린트
- 코드잇 스프린트 9기
- 프로젝트 회고
- 개발
- FED
- 병렬 라우트
- CS
- 가계부채
- 내수
- API
- 가계대출
- 코드잇
- react
- js
- 미국
- 프론트엔드
- next
- 금융투자소득세
- Next.js
- 경제
- app-router
- Today
- Total
목록app-router (2)
뭉균의 개발일지

🚪들어가며 (해당 포스팅은 Next.js의 공식문서의 개념 정의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인스타그램을 보다보니 위의 GIF와 같이, 링크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게시물을 처음 클릭했을 때는 모달 형태로 페이지가 렌더링되고 이후에 새로고침을 하면 모달이 아닌 페이지가 렌더링되는 경우를 발견했습니다. 이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Next.js에서의 Parallel Routes와 Intercepting Routes가 사용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Parallel Routes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추후 게시물을 통해 Intercepting Routes를 다루겠습니다. 📖 Parallel Routes Parallel Routes를 사용하면 동일한 레이아웃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동시에 또는 조건부로 ..

🚪 들어가며 refreshToken을 사용하여, 서버에 토큰 재발급을 요청하는 상황에서는 인터셉터 또는 미들웨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우선 아래 코드와 같이 인터셉터를 사용해보려고 했습니다. axiosInstance.interceptors.response.use( (res) => res, // 성공적인 응답은 그대로 반환 async (error) => { const originalRequest = error.config; // 401 Unauthorized 에러가 발생하고, 아직 리프레시 토큰을 시도하지 않은 경우 if (error.response?.status === 401 && !originalRequest._retry) { originalRequest._retr..